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KIA 타이거즈/이야깃거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두산 베어스|두산]]만 만나면 작아지는 팀 == 두산 베어스에게 호구잡힌 팀으로, 2012년 이후 최근 13년간 KIA-두산의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rowbgcolor=#dcdcdc,#222222> '''연도''' ||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2010~2024).svg|width=45]] [br] '''두산''' ||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width=50]] [br]'''KIA''' || '''상대우위''' || || [[2012 팔도 프로야구|2012년]] || '''10승 1무 8패''' || 8승 1무 10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13 한국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2013년]] || '''12승 1무 3패''' || 3승 1무 12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14 한국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2014년]] || 7승 9패 || '''9승 7패''' || {{{#c70125 KIA 타이거즈 우위}}} || || [[2015 타이어뱅크 KBO 리그|2015년]] ||<-2> 8승 8패 || 동률 || || [[2016 타이어뱅크 KBO 리그|2016년]] || '''11승 5패''' || 5승 11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17 타이어뱅크 KBO 리그|2017년]] || '''8승 1무 7패''' || 7승 1무 8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18 신한은행 MY CAR KBO 리그|2018년]] ||<-2> 8승 8패 || 동률 || || [[2019 신한은행 MY CAR KBO 리그|2019년]] || '''13승 3패''' || 3승 13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20 신한은행 SOL KBO 리그|2020년]] || '''13승 3패''' || 3승 13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21 신한은행 SOL KBO 리그|2021년]] || '''9승 2무 5패''' || 5승 2무 9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22 신한은행 SOL KBO 리그|2022년]] || 7승 9패 || '''9승 7패''' || {{{#ea0029 KIA 타이거즈 우위}}} || || [[2023 신한은행 SOL KBO 리그|2023년]] || '''12승 4패''' || 4승 12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 [[2024 신한 SOL Bank KBO 리그|2024년]] || '''9승 1무 6패''' || 6승 1무 9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rowbgcolor=#FFFFE0,#332d00> '''총 전적''' || '''127승 6무 78패''' || '''78승 6무 127패''' || '''{{{#131230 두산 베어스 우위}}}''' || 표에서도 보이듯 KIA가 두산을 상대로 근 13년간 상대전적 우위를 차지한 시즌은 두산이 자체적으로 크게 부진했던 2014년과 2022년 단 두 시즌뿐이며, 이마저도 9승 7패로 근소우위인 반면[* 공교롭게로 두산은 KIA전 열세를 기록한 해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열세를 기록한 시즌에는 승패마진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우승을 차지한 2017년에도 상대전적 열세를 기록했다. 역대 전체 상대전적을 보아도 2024년 현재 354승 19무 398패(-44)로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29인 삼성에게보다도 훨씬 고전한 모습을 보인다. 심지어 2012년까지는 OB-두산 상대 통산 상대전적 마진이 +3로 근소하게 우세였는데 그 이후로 심각했던 두산전 열세현상으로 -44까지 밀린 것이다. 특히 KIA는 잠실 원정에서도 부진했지만 유난히 두산을 상대로 한 홈경기에서 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2016년부터 2024년까지 두산 베어스의 광주 원정 경기 성적은 47승 1무 24패로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 그나마 [[2017 타이어뱅크 KBO 한국시리즈|2017년 한국시리즈]]에서는 천적 두산을 꺾고 통산 11번째 우승을 달성하는 기쁨을 누리기도 했으나, 그 외에는 두산에게 어김없이 일방적으로 밀리며 두산의 높은 순위 유지에 제대로 기여하고 있다. 2023년 시즌에도 KIA 타이거즈는 타팀들에게는 양호한 성적을 기록했으나 두산 상대로 4승 12패로 처참히 깨지면서 또 다시 두산 공포증에 발목을 잡히고 말았고, 이로 인해 두산과 단 한 게임 차로 밀려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우승 시즌이었던 2024 시즌마저도 두산과의 상대전적에서 6승 1무 9패로 열세였다[* KBO리그 역대 [[2024 신한 SOL Bank KBO 리그/두산 베어스 vs KIA 타이거즈 제14차전|한경기 최다득점 경기]]도 이 시즌이었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이 시즌 KIA가 유독 2위 상대로 강했는데 두산이 시즌 초 1경기차 2위일 때는 위닝시리즈를 거두고 승차를 벌렸다.]. 가히 천적관계가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KIA는 공교롭게도 2013년 이후로 두산과 같은 서울 연고팀들인 LG와 키움(넥센)에게도 굉장히 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유독 2013년 이후 서울 연고팀들만 만나면 맥을 추지 못하고 있다.[* 2024년 기준 KIA의 서울 연고팀들 상대 2013년~2024년 상대전적은 두산전 70승 117패 5무, LG전 88승 102패 2무, 키움전 84승 107패 1무다. 그런데 정작 LG가 우승한 2023년에는 오히려 KIA가 LG에 9승 7패로 근소하게나마 앞섰다. 그리고 2024년 시즌에는 LG 상대로 무려 13승 3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어 정말 오랜만에 상황이 반전되었으며, 키움 상대로도 11승 5패로 우위를 확정지었다. 하지만 두산에게는 6승 1무 9패로 밀려 여전히 곰 공포증을 떨쳐내지 못한 모습이다.] 여담으로 두산 감독 시절 KIA의 저승사자로 악명 높았던 [[김태형(1967)|김태형]]은 2024년에 새로 부임한 롯데에서도 KIA에게 제대로 고춧가루를 뿌리고 있다. 그래도 후반 들어 KIA도 반격하면서 7승 1무 8패, 백중세를 거뒀다. 두산과는 다르게, [[SK 와이번스]] 상대로는 불가사의할 정도로 강한 모습을 보여줬으나, SK가 [[SSG 랜더스]]로 팀명을 바꾸고 [[김원형]]이 감독으로 부임한 2021년부터는 반대로 SSG에게 계속 호구잡히고 있다.[* 2021~2024년 4년간 SSG전 상대전적이 24승 1무 39패로 상당히 밀려 2020년 기준 +13이던 통산 상대전적 마진도 2024년 -2로 근소하게 열세로 넘어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